Unity(121)
-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로봇 완성
새 포텐셔미터를 갈아 끼고도 Shoulder 모터의 떨림 현상은 해결되지 않았다. 다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안되는 점을 찾기 시작했다.모터 자체의 결함 -서보 드라이버의 다른 핀에 꽂으니 잘 작동했으므로 통과서보 드라이버의 결함 -코드에 작성된 해당 핀에 정상 작동하던 모터를 꽂으면 그 모터가 떨림 따라서 서보 드라이버 자체의 결함 보다는 포텐셔미터로부터 들어오는 해당 핀의 문제로 의심됨.아두이노의 결함 -다른 아두이노에 그대로 적용해본 결과 떨림 현상 똑같이 발현.포텐셔미터의 결함 -이미 새 포텐셔미터를 갈았으므로 통과. 하지만 혹시 몰라서 다른 새 포텐셔미터로 갈아끼웠다.배선의 문제 -Shoulder 모터에 연결된 전선의 배선을 반대로 하면 해결될 것 같았으나 반대로 하면 모터가 돌아가지 않아서 ..
2024.02.05 -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테스트(3) 서보 모터 떨림 고치기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테스트(2), 회전 값 출력지난 번에 연기난 서보 모터 드라이버는 새 드라이버로 바꿨고, 다시 테스트에 돌입했다... 수 많은 테스트 끝에 Base 서보 모터가 고장이 났고, Elbow를 담당하는 Potentiometer가 고장 난 것을 알아냈lightbakery.tistory.com이전 테스트에서 Base에 해당하는 모터가 고장이 났던 것을 알아냈고, 0~180도 모터를 새로 주문해서 서보 모터 드라이버에 잘 끼웠다. 그런데 여기서 모터가 튕기는(?) 현상을 보이며 좌,우로 크게 움직였다. 처음에는 들어오는 Pulse 진동 값이 문제라고 생각하여 아두이노 스케치에서 Frequency 값을 50에서 51, 60으로 바꿔보았으나 여전히 ..
2024.02.01 -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테스트(2), 회전 값 출력
지난 번에 연기난 서보 모터 드라이버는 새 드라이버로 바꿨고, 다시 테스트에 돌입했다... 수 많은 테스트 끝에 Base 서보 모터가 고장이 났고, Elbow를 담당하는 Potentiometer가 고장 난 것을 알아냈다. Potentiometer는 여유분이 있어서 바꾸고 잘 동작했지만, 서보 모터는 여유분이 없어서 다시 주문했다... 그리고 Elbow 서보 모터를 서보 모터 드라이버의 0번으로 옮겼다. 원래 위치가 잘 동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래의 코드는 수정된 코드이다.#include #include #define MIN_PULSE_WIDTH 650#define MAX_PULSE_WIDTH 2350#define FREQUENCY 60 Adafruit_PW..
2024.01.26 -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아두이노 IDE 작성, 테스트
전선도 다 이었고 이제 전원선을 연결해서 전원을 공급하고, USB를 끼워 아두이노 IDE 코드를 전송한다. 아래는 서보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이다.#include #include #define MIN_PULSE_WIDTH 650#define MAX_PULSE_WIDTH 2350#define FREQUENCY 50 Adafruit_PWMServoDriver pwm = Adafruit_PWMServoDriver();int potWrist = A3;int potElbow = A2; //Assign Potentiometers to pins on Arduino Unoint potShoulder = A1;int potBase ..
2024.01.23 -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회로 완성
아래의 회로도를 참고하여 기판을 조립하였다. 컨트롤러와도 연결한 모습 잘 보면 컨트롤러와 로봇이 같은 형태로 준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컨트롤러를 움직이면 옆에 큰 로봇이 같이 움직여야한다. 이제 전원선을 연결하고 컴퓨터와 연결해서 전원 공급과 프로그램 이식을 할 것이다.추가로 3D 모델링 파일을 이용해서 유니티에서도 같이 움직이게 만들 예정이다. 목표는 아래의 영상 처럼 실시간으로 실제 모델과 가상 모델의 동기화다. 참고자료) 만약 fritzing이 필요할 시 아래의 링크를 이용한다. 유료화된 fritzing, 빌드해서 사용하기학교에서 작년에 졸업작품으로 IoT 프로젝트를 하면서, fritzing을 쓸 일이 있었다. fritzing은 전자공학과 별 관련없는 삶을 살던 사람도 쉽게 전자..
2024.01.17 -
[Robot Arm Arduino Project] RAAP프로젝트 -컨트롤 로봇 조립, 전선 연결
로봇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원을 받을 수 있는 전원부를 만들었다. T플러그로 전원을 직접 받아올 것이고, 스위치로 on/off를 조절할 것이다. T 플러그의 길이 제한 때문에 살짝 가는 전선으로 바꾸었다. 이 때, 전선의 사용 가능한 전류와 전압을 확인해야하는데, 조금 가는 전선은 5A 정도, 300V까지 견딜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최대 전류가 5A이기 때문에 조금 낮게 사용하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큰 로봇을 컨트롤 할 작은 컨트롤 로봇도 만들었다. 각 관절마다 potentialmeter를 가지고 모터가 돌아가는 정도를 조절할 예정이다. 각 연결점 마다 전선을 놓고 납땜도 했다. 잘 연결이 되어있는지 연결 점검도 해야한다.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