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12. 12:26ㆍBlender
[Blender] 블렌더 파티클에 물리 적용하기
위의 파티클 설정은 1 프레임 부터 200 프레임까지 만들어지는 파티클의 총 개수 "1000"을 의미한다. Lifetime은 생성된 파티클의 수명이 50 프레임동안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Emit From]을 통해 점
lightbakery.tistory.com
예전 글에서 블렌더 파티클 충돌에 대해서 다룬 적이 있다.
해당 글은 예전 블렌더 버전 기준이기 때문에 업데이트된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블렌더 버전 : Blender 4.0
Releases · u3dreal/molecular-plus
particle solver for Blender 3.0+ / 4.0+. Contribute to u3dreal/molecular-plu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의 링크를 들어가보면 블렌더 버전 4.0과 4.1에 대해서 Molecular Addon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명이 되어있다.
나는 현재 4.0 버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페이지 하단에 파이썬 3.10 버전을 사용하는 윈도우용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했다.
이 애드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이썬이 필수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Python 3.10 버전도 다운로드했다.
Python Release Python 3.10.11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다시 블렌더로 돌아가서, github에서 받았던 압축파일을 [Install...] 버튼을 통해 설치한다.
설치가 잘 되었다면 단축키 N을 눌렀을 때 나오는 패널에서 [Molecular+] 패널을 볼 수 있다.
[Simulate] 버튼을 누르면 파티클끼리 충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Cone을 하나 생성하여 [Physics] 메뉴에서 [Collision] 옵션을 켜서 Cone도 파티클과 충돌하게 만들었다.
파티클 충돌 예시 (.glb 파일로 export)
'Blen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ender] glb/glTF 용 텍스쳐 알파 적용하기 (0) | 2024.06.17 |
---|---|
[Blender] Volumetric Fluid (유체 볼륨) glb/gltf에서 사용하기 (0) | 2024.06.13 |
[Blender] Unity용 glb/gltf export 매뉴얼 (1) | 2024.06.04 |
[Blender] 파티클을 glb/gltf로 export 하기 (0) | 2024.05.28 |
[Blender] Blender에서 Blend Shape 적용 (1)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