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3)
-
[Unity] 유니티 함수의 종류 (제작 함수, 이벤트 함수, 제공 함수)
제작 함수필요한 기능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는 함수 이벤트 함수Start 함수와 같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함수, 특정 지점에 실행되는 함수 제공 함수print, Debug.Log 함수 같이 유니티에서 이미 만들어져서 제공하는 함수.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음. 클래스 최상단에 namespace라 부르는 using.unityengine; 부분이 Random.Range 등의 제공 함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namespace는 클래스를 관리하는 공간이다. Random.Range : Random 클래스의 Range 함수를 사용int value = Random.Range(1, 10); namespace는 다음과 같이 임의로 작성할 수 있다.namespace Utility{ public class..
2023.08.07 -
[C#] 함수의 종류 (입출력이 없는 함수, 입력만 있는 함수, 출력만 있는 함수, 입출력이 있는 함수)
입출력이 없는 함수 void TestFunc() { ... } void는 출력이 없음을 뜻하고 함수명 뒤의 괄호가 비었다는 것은 입력이 없다는 것을 뜻한다. 입력만 있는 함수 함수 안의 변수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이 따로 필요한 경우가 있다. void MyPrint(int a) { ... } 출력은 없으며 int 형의 a 매개변수를 입력받는 함수이다. void Start() { MyPrint(10); } 함수를 호출해서 쓰는 경우 위와 같은 형식으로 쓸 수 있다. (10은 인자(argument)) 출력만 있는 함수 int MyNumber() { int num = 10; retrun num + 2; } 함수 앞에 출력하고 싶은 Type을 적는다. 함수 종료 시 return 키워드로 출력값을 내보낸다...
2023.08.07 -
[C#] 함수의 입출력
입출력이 없는 경우 void PrintNum() { ... } void의 의미는 출력이 없다는 것이고 () 빈 괄호는 입력이 없다는 뜻이다. 입력만 있는 경우 void MyPrint(int a) { int num = 1; print(a + num); } 입력이 있는 경우 괄호 안에 변수형과 변수 이름을 적는다.("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한다.) 위의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함수 이름 옆 괄호 안에 값 또는 변수도 넣을 수 있다.("인자(argument)"라고 한다.) void Start() { MyPrint(10); } * 매개변수와 인자의 변수이름은 같아도 상관없다.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