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0)
-
[Unity] 유니티 그래픽스 최적화 스타트업 정리(1) - 최적화 개요, 렌더링 파이프라인, 병목, 드로우콜과 배칭
1-1 최적화의 이해최적화의 시기흔한 실수 중 하나가 최적화를 개발 막바지에 하는 것. 마지막에 와서 모델링의 폴리곤 수를 반토막 내야 한다던가 쉐이더를 스탠다드에서 레거시로 바꾸는 작업을 한다면 시간이 많이 걸릴 수 밖에 없다. 반대로, 프로젝트 시작 부분인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에서는 빠른 기능 구현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차피 추후에 버려지는 초반 코드에 최적화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결론은 항상, 모든 개발 기간에 최적화를 신경써야 한다. 1-3 그래픽스 API엔진과 그래픽스 APIPC, 아이폰, 안드로이는 각각의 그래픽 칩셋을 이용한다. 많은 GPU 생산 회사와 그에 따른 펌웨어와 드라이버가 있다. OS 별로 모든 GPU의 프로토콜에 맞춰서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DirectX..
2025.07.04 -
[Web] Three.js 웹 프로젝트 최적화 표준화 -모델링
개요Web에서 3D 오브젝트를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당연하게도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최적화가 필요하다. Web 프로젝트 최적화 표준 방안에 대해서 정리한다. 항목 별 최적화 방안메테리얼최대한 적은 수의 메테리얼을 사용하는 것이 최적화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있다고 생각하면 하나의 메테리얼에 옷과 피부가 포함된 텍스쳐를 사용하여 전체 오브젝트에 1 메테리얼 1 텍스쳐를 사용하는 방식. 메테리얼 셰이더도 가벼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Three.js에서 사용되는 메테리얼 셰이더는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 렌더링이 가장 빠른 순서로 BASIC → LAMBERT → PHONG → STANDARD → PHYSICAL이 된다.따라서 Physical로 설정되어 있는 셰이더로 들어..
2025.06.11 -
[Blender] glb/gltf 3D 포맷에서 글래스모피즘(GlassMorphism) 효과 만들기
개요글래스모피즘(GlassMorphism)이란?- 유리처럼 반투명하고 흐릿한 시각 효과를 주는 디자인 트렌드. 배경 효과로 Gaussian Blur를 주로 사용한다. 이런 효과를 3D 모델에서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해보고 적용해보았다. 적용 방법예전에 작성했던 글에서 비슷한 기능을 사용했던 적이 있다. [Blender] Volumetric Fluid (유체 볼륨) glb/gltf에서 사용하기이전에 glb/glft 파일로 웹에서 물결을 표현하기 위해서 nodetoy 사이트의 셰이더를 이용한 적이 있다.아쉬운 부분은 하나의 평면 메쉬에 대해서 물결치는 느낌을 줄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원형lightbakery.tistory.com Three.js의 예시도 참고했다. three.js ex..
2025.05.28 -
Claude AI와 Blender MCP를 이용한 모델링 자동화 구현
아무래도 관련 업계에서 일을 하고 있다보니 유튜브 알고리즘이 나를 이쪽으로 이끌었다. 무려 AI가 모델링을, 심지어 Blender를 이용해서 해준다는 것이었다. 바로 시도해보고 싶어졌다. 사용 방법먼저, Claude Desktop을 설치해야 한다.https://claude.ai/download설치 후 로그인 한다. blender-mcp 깃허브에 들어간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세하게 잘 설명되어 있다. 튜토리얼 영상도 제공하고 있다. GitHub - ahujasid/blender-mcpContribute to ahujasid/blender-mcp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cmd 실행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아래 코드를 복..
2025.05.27 -
[Blender] 블렌더에서 텍스쳐 이미지 베이킹하기 (Baking Texture Image in Blender)
개요블렌더에서 만든 다양한 셰이더 노드를 3D 모델로써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블렌더 자체에서 사용되는 렌더링만을 위한 기능도 많고, fbx나 obj 또는 웹 용도로 많이 쓰이는 glb 등 여러 3D 포맷에서 모든 셰이더 노드가 호환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복잡한 셰이더 노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텍스쳐 형태로 bake 하여 사용하게 된다. 현재는 개인적으로 Unity나 웹에서 주로 glb 포맷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glb를 예시로 들어서 작성해보려고 한다. 이미지 텍스쳐는 fbx나 기타 3D 포맷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사실 포맷이 중요하지는 않다. 아래와 같이 [Color Ramp]를 이용한 메테리얼을 적용한다고 했을 때, 이 모델을 glb로 바로 export 하면 의도..
2025.05.26 -
[Blender] GLB 파티클 애니메이션 제작 매뉴얼
개요3D 이펙트를 생각할 때 Blender에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 결과물 또한 glb로 export 해야할 때 사용되는 방법을 기술한다. 방법Sphere, Plane 등 파티클을 생성할 면을 생성한다. 해당 오브젝트에 ParticleSystem 추가 파티클 Number 개수 설정, Frame 및 Lifetime 설정, Velocity 퍼져나가는 속도 설정짧은 순간의 이펙트를 위해서 한 번에 터지는 효과로 Frame Start와 End를 같이 1로 주었고 Lifetime도 짧게 가져갔다. 이펙트에 사용할 별 모델링이 자체적으로도 회전하면서 나아가기 원해서 [Rotation] 체크, [Angular Velocity] - [Random] 설정별 모델링을 사용하기 위해서 [Rende..
2025.04.28